언론속의 국민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보헤미안 랩소디'속의 비밀 열가지[특별기고] / 조현진(교양대학) 특임교수 | |||
---|---|---|---|
록그룹 ‘퀸’과 리드 싱어 프레디 머큐리의 파란만장한 스토리를 담은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가 극장가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청소년기에 퀸의 음악을 들으면서 자란 중장년층은 물론 젊은 세대까지 아우르면서 많은 공감을 일으키고 있다. 조현진 국민대 특임교수가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영화속 이야기에 대해서 본지에 특별기고를 보내왔다. 퀸의 전성기때 청소년기를 보낸 조 교수는 YTN 보도국 기자 출신으로 1999~2002년 ‘빌보드’지 한국 특파원을 지내면서 ‘K팝’ 현상을 팝의 본고장에 알리는데 큰 역할을 했다. 로큰롤의 뿌리를 탐구한 역저 ‘로큰롤의 유산을 찾아서’를 2015년에 펴내기도 한 ‘로큰롤 키드’이기도 하다. <편집자주> 영국의 4인조 록밴드 퀸을 소재로 한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의 인기가 기대 이상으로 대단하다. 영화로서의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지적과 음악의 힘이 살아있다는 상반된 평가 속에서 떼창의 위력은 영화관 밖에서도 들린다. 전설적인 밴드의 탄생, 영속성 있는 음악의 발표 그리고 걸출한 보컬리스트의 드라마틱했던 삶을 담은 ‘보헤미안 랩소디’는 영화 곳곳에 숨어 있는 매력을 발견하도 것도 또 다른 재미다.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보헤미안 랩소디’의 숨은 장면 10선을 소개한다. 1. 오프닝 팡파레 20세기 폭스사가 제작한 영화들은 시작과 함께 첫 장면을 장식하는 서치라이트 형태의 로고와 팡파레 음악이 너무나도 상징적이다. 필자의 경우는 1978년 국내 개봉한 (미국 개봉 1977년) 영화 스타워즈를 본 이후 머리 한구석 어디엔가 깊숙이 박혀있는 20초 안팎의 팡파레다. ‘보헤미안 랩소디’도 어김없이 이 팡파레와 함께 시작한다. 그런데 파격적이다. 기타로 편곡된 팡파레 버전이다. 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의 편곡을 거친 이 팡파레는 2시간 동안 이어질 로큰롤 여행의 비상을 알리는 서곡이다. 같이 영화 보러 간 퀸의 광팬인 음악인 친구가 이 팡파레를 듣고 영화 시작 3초 만에 흥분한 모습이 잊혀지지 않는다. 2. 스마일 밴드와의 조우
3. 그 여자! 4. 그 남자! 5. EMI 음반사의 레이 포스터
6. 프레디 집에서의 파티 7. 에이드 전에 에이즈? 8. 퀸, U2를 만나다?
9. 다이어 스트레이츠 10. 위 윌 록 유(We Will Rock You)
그리고 또 하나. 전세계 퀸 팬들은 프레디를 추모할 만한 최적의 장소를 찾아 나선다. 필자 역시 취재를 위해 런던을 찾았는데 결국 ‘가든 로지(Garden Lodge)’에서 해답을 찾았다. 가든 로지는 런던 켄싱턴(Kensington) 지역에 위치한 맨션 이름으로 프레디가 숨진 1991년까지 실제 살던 집이다. 프레디는 사망 이후 화장됐고 철저하게 비밀에 부쳐진 장소에 유해가 뿌려졌다. 무덤이나 묘지도 없는 그이기에 가든 로지는 사실상 프레디의 무덤이자 성지 대접을 받으며 이른 아침부터 팬들이 몰려온다. 벽은 늘 추모 편지와 낙서로 빽빽이 덮여 있고 꽃다발도 도처에 흩어져있다. 프레디는 숨지기 전 이 집을 영화에도 나온 메리 오스틴에게 남겼다. 실제 메리는 프레디가 눈을 감는 순간까지도 그의 가장 가까운 벗으로 남았다. 무대 위에서는 그 누구보다 화려했던 프레디였지만 그가 실제 살던 집은 낙서나 추모객이 아니었다면 록스타가 살았던 집이라고는 생각하지도 못할 정도로 조용한 지역에 차분히 자리하고 있다. 오페라틱했던 음악과 드라마틱했던 삶을 살았던 그였기에 그가 살던 집은 더더욱 차분하게 다가온다. 영화의 성공과 함께 이 집은 더 큰 명소로 늘 붐빌 전망이다. 그렇다고 그 차분한 분위기가 하루아침에 달라지지는 않을 듯하다.
조현진(국민대 특임교수·‘로큰롤의 유산을 찾아서’ 저자) 출처: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7014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