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개발전공

Major in Leadership Development

본 전공은 지도자학에 관련된 이론적 연구를 통해 지도력에 필요한 제반 정치현안에 대해 이해하고 지도자로서의 자질과 덕목을 함양합니다. 지도력, 시민운동, 각종 정책현안 등을 분석하고 대화와 대중연설 등을 분석하거나 실습함으로써 네트워크 사회, 수평적 인간관계에 적합한 새로운 유형의 리더십과 덕성, 설득적 지도력을 함양합니다.

전공과목 안내

  • 대중연설과 토론

    대중연설의 신뢰감을 높이고 호감 있는 첫인상을 주기 위한 온화한 미소, 경청의 태도 등과 같은 방법부터 목적에 따라 대중연설의 주제를 달리 설정하고, 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적절하게 전달할 것인지까지 살펴본다. 또한 어떤 논제에 대해 찬성자와 반대자가 논리적인 근거를 들어 자신의 입장을 발표하고 상대의 논거가 부당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드러내는 토론 방식을 실습한다.

  • 소통의 리더십

    리더십 이론 사회문제의 상당한 부분이 소통의 부재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올바른 소통을 통한 리더십의 연구를 자료와 함께 설명하며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집단에서 발생하는 리더십과 소통에 대한 사례를 우리 삶에 빗대어보고, 자기 평가 항목을 통해 자신의 리더십과 소통을 진단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혁신을 추구하는 리더를 육성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 여성정치리더십

    21세기 정치 변화를 이끌어갈 여성 리더십의 핵심을 파악함과 동시에 지역사회의 여성 정당활동의 멘토로서 지역조직을 이끌어가는 여성지도자를 양성함을 목적으로 함. 여성정치 인식개선 활동, 여성정치인 양성, 여성정치리더십 모델링, 여성과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정치, 여성정치리더십 비전 맵핑, 여성정책 제안 및 연구 등을 중점적으로 학습하며, 여성이 직·간접적으로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까지 연구해본다.

  • 이익집단정치의 이론과 실제

    한국의 이익집단정치를 중심으로 먼저 이익집단정치를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에서 실제적으로 전개된 이익집단정치의 사례를 통해 이론과 사례를 어떤 식으로 이해하고 연결해갈 것인지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다른 많은 정치적 현상과 마찬가지로 1987년의 민주화가 이익집단정치의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시기적으로는 1987년의 민주화를 기점으로 하여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서 살펴본다. 이를 통해 한국의 정치 현상을 이익집단정치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시각을 가짐과 아울러,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바람직한 이익집단정치의 형태는 어떤 것일까에 대해 모색해본다.

  • 정치리더십연구

    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사례 연구를 통하여 정치영역에 주어진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공동체 구성원과 지도자의 리더십을 밝힌다.

  • 정치리더십의 이론과 실제

    복잡한 정치적 상황은 체제, 구조, 제도 분석을 넘어 리더십 분석의 중요성을 심화시킨다. 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사례 연구를 통하여 정치영역에 주어진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치리더십의 이론적 토대와 실천 방안을 모색한다.

  • 정치협상전략의 이론과 실제

    협상의 기초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실생활과 각종 전문 분야에서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실제 사례를 역할극 시뮬레이션 등의 방법으로 익히게 함으로써 구체적인 협상 방법과 정치철학을 몸으로 익히도록 전략에 대한 이론과 사례를 학습한다.

  • 조직관리와 리더십

    조직관리이론 기초로 조직관리와 리더십 전반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조직관리의 합리적인 편성원리와 조직관리의 혁신방안을 익힌다. 현대사회의 개인, 팀, 조직 및 사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리더십의 유형과 역할 및 특성을 살펴보고 미래의 리더들이 지향해야 할 리더십의 모습을 함께 고민해본다. 또한 리더들의 사회적 책임, 팀워크, 동기부여, 비전과 전략 계획 등 주제에 대한 토론과 학습을 통해 리더십 개발의 방법을 탐색한다.

  • 한국현대 정치사상

    국회와 국회의원의 제반 활동사항은 국회법에 명시되어 있으며, 선례 및 관행에 의해 보충된다. 166개 조에 걸친 국회법의 명시적 내용(총칙, 조직, 의원, 교섭단체, 회의, 정부와의 관계, 청원, 질서유지 등)과 관련 법규(국정감사 및 조사법, 증언감정법 등)에 대한 법적, 제도적 연구 및 관행에 대하여 연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