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손영준의 퍼스펙티브] 문재인 정부의 ‘진영 논리 소통’…국민 공감 얻기 어려워 / 손영준(언론정보학부) 교수 | |||
---|---|---|---|
민주주의 힘들게 하는 정부의 선택적 소통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교회 지도자 간담회에서 “대통령을 욕해서 기분 좋으면 그것도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평소 어법과 달리 내면의 정서를 드러낸 말이다. 문 대통령의 이 말은 당시 큰 주목을 받지 못한 것 같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 보니 문 대통령의 소통 철학이 담긴 말이다.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시중의 부정적 여론을 알고 있다. 그러나 시민은 표현의 자유가 있으니 신경 쓰지 않겠다’ 정도인 것 같다. 아쉬운 것은 사람들이 왜 욕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없다는 점이다. 그런 비판을 어떻게 정책에 반영할 것인지도 언급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사실 국민과의 소통을 누누이 강조해 왔다. 수시로 소통하고, 설득하며, 하나가 되겠다고 다짐했었다. 그런데 소통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표현의 자유는 일방향이며, 소통은 쌍방향이다. 대통령이 이를 모를 리 없을 것이다.
.지금 정부 소통의 특징은 ‘선택적 소통’이다. 소통은 진영 논리에 갇혀 있다. 지지층과 반대층을 나눠서, 포용과 배제 기준을 적용한다. 문 대통령은 3년 전 대통령 선거 마지막 기자회견에서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2017년 5월 8일)라고 했다. 취임사에서는 “지지하지 않았던 국민 한분 한분도 저의 국민이고 우리의 국민으로 섬기겠습니다”(2017년 5월 10일)라고 약속했다. 정부는 반대 세력과의 소통에 대단히 소극적이다. 선거 승리는 비판 세력과의 소통 필요성을 잠재웠다. 다수결에 따른 의사 결정은 편리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결이 소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민주화 이후 역대 대통령은 모두 소통에 실패했다. 권력을 위임해 준 국민과 잘 소통하지 못했다. 소통의 참 의미를 실천하지 못했다.
※ 게재한 콘텐츠(기사)는 언론사에 기고한 개인의 저작물로 국민대학교의 견해가 아님을 안내합니다. ※ 이 기사는 '뉴스콘텐츠 저작권 계약'으로 저작권을 확보하여 게재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