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스포츠 세리머니의 시각 언어들 / 조현신(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교수 | |||
---|---|---|---|
스포츠 게임에서 후 승자가 주로 보여주는 세리머니는 성취감, 사랑하는 것들에 대한 환호의 표현이기에 관중들에게도 자극적이며 많은 흥미의 대상이 된다. 특히 축구를 중심으로 각국 선수들이 펼치는 다양한 제스처들은 다른 스포츠에서는 찾을 수 없는 또 하나의 볼거리이다. 이런 세리머니는 요즘 선수들이 개발해야 할 또 다른 신체 언어이기도 하지만, 꼭 기쁨의 세리머니들만 있는 것은 아니다. 스포츠 역사에는 승리 후 펼쳐진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거부를 표하는 신체 언어가 있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각 금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한 후시상대에 선 손기정, 남승룡 선수 식민지 청년의 거부의 몸짓, 손기정과 남승룡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의 ‘블랙 파워 살루트'(1968년 블랙파워 살루트, 검은 주먹의 거부 제이든 산초 선수의 'Justice forGorge Floyd' 세리머니/ 이동국 선수의 인종차별 반대 세리머니
브랜디 채스테인의 세리머니 영원한 침묵의 신체 언어 마리오 발로텔리의 ‘Why always me?’ 세리머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