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 장석흥(국사)교수 중국서 학술회의 주관
광복60돌 기념, 한·중연대 ‘빛나는 항일투쟁사’ 조명

[경향신문 2005-10-17 20:24]


한국의 광복 60주년과 중국의 항일전쟁 승리 60주년을 맞아 한·중 역사학자들이 중국에서 의미있는 학술대회를 열었다. 지난 13~15일 한국근현대사학회(회장 장석흥 국민대교수)와 중국 푸단(復旦)대학 역사학계아주연구중심(주임 우징핑 교수) 공동주최로 상하이 푸단대에서 개최된 한국 광복 60주년 및 중국 항일전쟁 60주념 기념 국제학술대회. 20세기 전반 일본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싸운 한·중 양국의 항일연대투쟁의 실상과 역사성을 규명하기 위해 열린 이번 대회에서는 한국인 학자 11명, 중국인 학자 13명이 주제발표를 가졌다. 주제는 ‘한·중 연대의 항일혁명운동과 혁명가들’.


특히 이 자리에서는 중국 혁명운동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학계에서 잘 다뤄지지 않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나 최근 우리 정부로부터 서훈을 받은 좌파 계열의 항일운동가들이 집중적으로 조명돼 눈길을 끌었다.


동국대 한철호 교수는 ‘광동코뮌과 김산’이라는 발표문에서 지난 8월 뒤늦게 건국훈장 애국장에서 추서된 김산(본명 장지락, 1905~1938)의 광동코뮌 활동을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광동코뮌은 항일투쟁에 참여한 중국 공산당 남방국 광주위원회가 광동에 소비에트 정권을 수립한 사건. 한교수는 발표에서 “당시 중국 광주 거주 한국인 대부분이 광동코뮌에 참여했으며 특히 중산의과대학을 다니다 코뮌에 참여한 김산은 전투병·통역관뿐 아니라 의료병으로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고 밝혔다. 한교수는 “중국은 사회주의 정부 수립 이후 광동 봉기의 현장에 ‘중조인민혈의정’이라는 기념 정자를 세우며 김산을 비롯한 한국인의 활약상을 기념하고 있다”면서 광동코뮌을 한·중간 우호관계를 도모했던 역사적 사례로 꼽았다.


올해 김산과 함께 서훈을 받은 한위건(일명 이철부, 1896~1937)의 항일투쟁을 고찰한 장규식 박사(서울시립대)는 “3·1학생운동의 기획자, 신간회의 활동가 겸 이론가였던 한위건은 1928년 상하이로 망명한 이후 중국혁명과정에 참여해 이른바 ‘철부노선’을 통해 중국 공산당 지도부의 좌경모험주의를 비판할 정도로 뚜렷한 자취를 남긴 조선인이었다”면서 “한국의 민족해방운동과 중국의 혁명을 대중적 반제 항일투쟁을 매개로 엮어낸 중국 공산당의 거물”이라고 평가했다.


중국인으로 한국의 독립운동을 연구하고 있는 손염홍 홍익대 교수는 아버지 김기창, 형 김승호·영호, 동생 김상호와 함께 다섯 부자가 중국에서 항일혁명운동에 참여한 주문빈(본명 김성호, 1908~1944)을 발굴, 소개했다. 평북 의주출신인 주문빈은 7살때 가족을 따라 중국으로 건너간 뒤 사회주의 사상을 수용, 1920년대 중반 공산주의자가 됐다. 이후 고등학교도 마치기 전에 중국 공산당의 지시로 ‘주문빈’으로 개명, 탕산(唐山)·치동(冀東)·톈진(天津) 등지에서 항일운동을 주도하다 36세의 나이에 일본군의 공격을 받고 희생됐다. 조선의 애국청년에서 중국의 혁명가로 전환하는 과정을 파헤친 손교수는 주문빈을 허베이성 일대에서 항일투쟁을 주도한 ‘국제주의 전사’라고 자리매김했다.



중국 혁명에 참여한 한국인 항일운동가들. 왼쪽부터 김산, 주문빈, 한위건, 유자명, 주덕해.

이밖에 서울시립대 염인호 교수가 중국 동북지역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하며 뒷날 옌볜 조선족자치주 주석에 오른 주덕해(1911~72)가 문화대혁명 와중에서 희생되는 과정을 파헤치고, 한상도 건국대 교수는 조선의용대 지도위원으로 중국 관내지역(만리장성 이남) 한인독립운동을 이끌다 광복 후 중국인 농학자로 변신한 유자명(1894~1985)의 항일투쟁을 발표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이밖에 이두산(1896~?), 김붕준(1888~?) 등 임정 계열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와 동북항일연군에 소속돼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한 중국인 주보중(1902~64)의 항일투쟁이 처음 발표되기도 했다. 근현대사학회 장석흥 회장은 “항일혁명기 일제라는 ‘공동의 적’ 앞에서 연대항일투쟁을 벌인 한·중 양민족의 경험은 귀중한 역사적 실체”라며 “한·중 연대에 깊은 궤적을 남긴 인물들을 조명하는 작업은 독립운동 연구뿐 아니라 동북아 평화정착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하이|조운찬기자 sidol@kyunghyang.com〉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