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기고] 자율주행 발전 원년, 기업 정책지원 절실 / 정구민(전자공학부) 교수

 

눈부신 기술의 발전 덕에 올해는 글로벌 모빌리티 업계에서 자율주행 기술이 본격적으로 꽃피는 원년이 될 전망이다.

 

이에 맞춘 글로벌 빅테크와 주요 국가들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구글과 테슬라는 2020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새로운 자율주행 기술을 발표하면서 관심을 모았다. 2024년 구글의 6세대 자율주행 차량 발표와 테슬라의 로보택시 시연으로 자율주행 상용화에 한발 더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 중국에서도 우한에서 바이두 자율주행을 확장하고 화웨이 자율주행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중국 자동차에 탑재하는 등 상용화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올해 성과를 기대하게 하는 자율주행 상용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서울시에서는 자율주행 택시와 자율주행 셔틀버스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카카오모빌리티,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에스더블유엠, 에스유엠 등 이 관련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하지만 투자 규모나 정책적인 지원 측면에서 한국은 해외에 비해 한참 부족하다. 지난해 7월 구글 알파벳은 웨이모에 50억달러 규모를 추가로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웨이모에 투자된 금액은 총 110억달러에 달한다. 중국 바이두는 매년 4조원 이상에 이르는 자율주행 투자를 계속하고 있다.

 

지난해 200억~300억원에 불과한 국내 주요 기업의 투자액과는 비교가 어려운 수준이다.

 

자율주행 누적 운행 거리에서도 웨이모 4000만㎞, 바이두의 1억㎞에 비해 오토노머스에이투지는 50만㎞로 크게 뒤떨어진다.

 

정책적으로도 미국과 중국의 자율주행 투자와 규제 완화 정책이 본격화되고 있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은 자율주행차 제조업체당 판매량 상한을 연간 2500대에서 10만대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약 20개 도시에서 자율주행 유상 운송 서비스를 허가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중국공업정보화부를 비롯한 4개 정부 부처가 비야디(BYD)와 니오를 포함해 9개 주요 기업에 도로 자율주행 레벨3·4 테스트를 승인했다.

 

자율주행 전문가들은 국내 자율주행 산업 투자 활성화와 함께 정부의 적극적인 자율주행 활성화 정책을 요청하고 있다. 자율주행 유상 서비스·성능인증제도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모빌리티 플랫폼은 높은 접근성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서비스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서울시가 지난해 9월부터 3800만명의 이용자를 보유한 '카카오T'와 협력해 자율주행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이는 자율주행 서비스 대중화를 위한 긍정적인 시도로 평가받지만 규제 환경 변화 없이는 실질적인 자율주행 유상 운송 서비스 상용화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신산업에 대한 소극적 정책 대응으로는 미래 먹거리인 관련 산업이 성장하지 못하고, 해외 기업들에 시장을 내주는 상황이 자율주행 시장에서도 벌어질 수 있다.

 

자율주행 산업은 전체 자동차, 관련 서비스, 인공지능(AI) 등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 업체들에 대한 투자 확대, 자율주행 서비스 활성화 정책, 데이터 주권 등과 연계한 토종 기업 보호 등의 대책이 시급히 요구된다. 올해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배려와 함께 우리나라 관련 기업들의 좋은 성과를 기대해 본다.

 

[정구민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