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중앙SUNDAY] 칠공예·나전기술의 융합 … 불교용품 주로 제작/박종기(국사학과)교수 | |||||||
---|---|---|---|---|---|---|---|
고려문화의 또 다른 정수를 보여주는 명품은 나전칠기(螺鈿漆器)다. 현재 16점이 전해진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1점을 빼곤 모두 해외(일본 10점, 미국 3점, 유럽 2점)에 유출돼 있다. 나전칠기는 칠공예(漆工藝)와 나전 기술이 합쳐진, 이른바 기술의 융합에 의해 생산된 명품이다. 나전 기술은 원래 중국 당(唐)나라에서 건너왔다. 이와 달리 목재제품 등에 옻칠을 입히는 칠공예 기술은 이른 시기부터 우리나라에서 축적돼왔다. 우리나라 칠공예의 장식기법이 주로 자개를 이용해왔기 때문에 칠공예 기술과 나전기술을 분간하지 않고 사용하면서, 나전칠기가 단일한 기술로만 제작된 것이라는 오해를 받게 된 것이다. 대표작은 나전대모국화당초문 염주합 원 왕실도 옻칠과 匠人 보내달라 요구 출처 : 중앙SUNDAY 기사보도 201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