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속의 국민
조선시대 영남사람의 욕망을 키웠던 출세 길을 따라 걷다 / 김용진(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겸임교수 | |||
---|---|---|---|
새재 길은 과거와 관련된 이야기도 많이 전해진다. 조선시대 한양으로 가는 과거 길은 세 개 뿐이었다. 영주와 단양 사이에 있는 죽령(竹嶺)을 넘으면 ‘죽죽’ 미끄러지고, 영동과 김천 경계인 추풍령을 넘으면‘추풍낙엽(秋風落葉)’처럼 떨어진다고 믿었다. 문경새재로 통하면 문경(聞慶) 즉, ‘경사를 듣게 된다.’하여 이곳을 넘었다고 한다. 굳이 지명과 연관시켜서까지 험준한 고개를 넘어야 했던 이유는 과거에 급제해 입신양명하는 것이었다. 당시 과거급제가 얼마나 어려웠는지 정구선은 ‘조선의 출세길, 장원급제’에서 이렇게 적었다. “조선시대를 통틀어 대과는 744회 실시되었고 급제자는 1만4620여 명이었다. 이 가운데 3년마다 치르는 정기시험인 식년시가 163회 실시 6063명 합격, 별시를 비롯한 부정기시험이 581회 실시 8557명이 합격했다.”고 한다. 과거 1회에 평균 19명 정도가 급제하였다. 요즘 국가공무원시험과 비교하면 과거급제는 하늘의 별 따기였다. 문경새재 길은 조선의 사회적정서가 투영된 곳으로 영남지역 사람들의 출세욕에 부응했던 길이다. 정치 길, 과거 길, 장사 길로서 힘들여 오르면 누구나 기회의 땅에 닫을 수 있는 공평한 길이었다. 환희와 좌절이라는 엇갈린 운명에서 고향 길마저 오던 길로 갈 수 없었던 비애의 길이기도 하였다.
- 선비도 장사치도 새재 길은 문경 아리랑 고개
- 민중의 애절함을 고스란히 간직한 새재 길 돌탑
김용진 작가 경북문인협회 회원, 디자인학 박사 출처:http://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65484 |